비즈니스 질문:
RLS (행 수준 보안)을 이용해 관리자와 사용자 간의 데이터를 제한할 수 있을까?
관리자는 모든 데이터에 액세스가 가능하고 사용자는 제한된 데이터만 볼 수 있게 할 수 있을까?
위의 질문은 앞선 포스트에서 다루었던 CASE 2. 사용자와 관리자 구분에 대한 질문입니다.
앞선 예시 데이터를 통해 위의 질문을 해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RLS의 기본 개념이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포스트를 참고해 주세요.
2025.01.03 - [POWER BI] - [POWER BI/파워비아이] 행 수준 보안 (RLS) 완벽 가이드: 기본 개념부터 역할 설정까지
CASE 2. 사용자와 관리자 구분하기
예시 데이터
Employee | Region | SalesAmount |
Alice | 서울 | 120,000 |
Bob | 부산 | 110,000 |
Charlie | 대구 | 105,500 |
David | 인천 | 130,000 |
사용자와 관리자를 구분하는 방법은 역할 관리를 통해 간단히 해결할 수 있습니다.
1. 모델링 -> 보안 -> 역할 관리를 클릭합니다.
2. "새로 만들기"를 클릭 해 역할에서 관리자를 추가해 줍니다. 관리자는 어떠한 제한 없이 모든 데이터를 접근해야 하므로 어떠한 필터도 적용해주지 않습니다.
그러면 쉽게 관리자와 사용자의 역할을 나눌 수 있습니다.
이후에 Power BI Service에서 원하는 관리자의 이메일을 관리자 역할에 추가해주면, 전체 데이터가 엑세스가 가능합니다.
왜 관리자 역할을 추가해 주어야할까?
관리자 역할을 추가함으로 POWER BI SERVICE에서 관리자에 해당하는 유저의 이메일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이 그룹에 속한 모든 이들은 제한 없이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관리자 역할은 RLS 설정의 효과를 검토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관리자는 보고서를 배포하기 전에 데이터가 올바르게 필터링 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RLS에서 관리자와 사용자를 나누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배우면 배울수록 RLS는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인 기능이라는 것이 느껴지시지 않나요? :)
다음 시간에는 좀 더 다이나믹한 RLS 기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OWER BI'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WER BI/파워비아이] 파이 차트를 더한 생동감 있는 지도 만들기 (1) | 2025.02.17 |
---|---|
[POWER BI/파워비아이] USERPRINCIPALNAME() 으로 동적 보안 (RLS) 설정하기 (1) | 2025.02.10 |
[POWER BI/파워비아이] 행 수준 보안 (RLS) 완벽 가이드: 기본 개념부터 역할 설정까지 (1) | 2025.02.03 |
[POWER BI/파워비아이] TOP PERFORMER 분석: 파라미터와 RANKX 완벽 활용법, 예시 탬플렛 (0) | 2025.01.27 |
[POWER BI/파워비아이] RANKX 실무 적용법: 지역별 매출 순위 분석 (1) | 202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