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POWER BI62

[POWER BI/파워비아이] DATESBETWEEN 이해하기 Power BI에서는 다양한 DAX 함수들을 사용하여 특정 기간을 필터링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그중에서도 함수는 사용자가 지정한 날짜 범위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데 아주 유용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DATESBETWEEN 함수를 중심으로 날짜 필터링 방법을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앞서 다룬 날짜에 관련한 포스트가 궁금하시다면? 2024.09.07 - [POWER BI] - [Power BI/파워비아이] DAX를 이용해 날짜 테이블 만들기 [Power BI/파워비아이] DAX를 이용해 날짜 테이블 만들기보고서를 만들 때 사람들이 가장 보고 싶어 하는 시각화의 형태를 꼽으라면 "트렌드 차트 (Trend Chart)"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트렌드 차트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데이터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 2025. 4. 14.
[Power BI/파워비아이] 실전 팁: 최신 데이터가 없는 경우 DAX로 자동 보정하는 법 데이터 분석을 진행하다 보면, 모든 팀이나 부서가 동일한 기간 동안의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팀은 특정 월까지의 데이터를 제공하고, 다른 팀은 그보다 더 최신 데이터를 제공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전체 데이터를 분석할 때 최신 데이터가 없는 팀의 데이터를 보정해 사용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지요, 오늘은 이러한 상황에서 데이터를 보정하는 방법과 이를 DAX를 활용하여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예시 데이터: A,B,C,D팀의 매출량 아래의 데이터 예시를 보면 C팀은 10월 이후의 매출량이 NULL이고 D팀은 11월 이후의 매출량이 NULL인 상황입니다.팀날짜매출A팀2023-0195,000A팀2023-0298,000A팀2023-03100,000.. 2025. 4. 7.
[POWER BI/파워비아이] 매개 변수 활용법: 완벽 가이드 POWER BI를 좀 더 유연하게 사용하고 싶을 때 필요한 것은 바로 "매개 변수"입니다. 매개 변수에 대해서는 예전 포스트들에서 나누어서 다루어보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앞서 포스트 드리을 기준으로 해서 매개 변수에 대해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해 보겠습니다. 매개 변수란?사용자가 Power BI 보고서에서 값을 선택하거나 입력하여 데이터를 동적으로 필터링하거나 조작할 수 있게 하는 기능입니다. 일반적으로 슬라이서(Slicer)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됩니다.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은 용도로 사용됩니다.📊 데이터 필터링 및 조작: 보고서에서 특정 값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필터링하거나 계산을 변경하는 데 사용됩니다.📈 동적 테이블 생성: 사용자가 선택한 파라미터.. 2025. 3. 31.
[POWER BI/파워비아이] GLIDE PATH 시각화 보고서 완성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 GLIDE PATH 시각화 보고서를 만드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시간에는 GLIDE PATH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고 누적 합계를 계산하는 법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포스트를 참고해 주세요. 2025.03.01 - [POWER BI] - [POWER BI/파워비아이] 누적 목표 대비 실적 분석표 GLIDE PATH - RUNNING SUM 만들기 오늘은 앞서 만든 계산식을 이용하여 GLIDE PATH를 시각화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완성된 GLIDE PATH는 다음과 같습니다. STEP 1. GOAL +10% / - 10% 계산 더 해주기저는 GLIDE PATH를 좀 더 잘 보여주기 위해 -10% 와 +10% 라인을.. 2025. 3. 24.
[POWER BI/파워비아이] 누적 목표 대비 실적 분석표 GLIDE PATH - RUNNING SUM 만들기 안녕하세요? 비즈니스 목표를 시각적으로 관리하고 보여주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설정한 목표를 대비하여 실제의 성과를 추적하여 보여줄 수 있다면, 계획을 조정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되고, 결과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결과를 예측하고 트렌드를 분석할 수 있는 것이 바로 Glide Path (누적 목표 실적표)입니다. 오늘은 POWER BI를 이용해 Glide Path를 만드는 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Glide Path 란? 목표와 실제 실적을 비교하여 진행 상황을 추적하는 시각화 기법입니다. 이때 각 달, 분기별로의 성장률을 반영하여 누적 목표를 설정하고, 실제 누적 실적과 비교함으로써 목표 달성을 위한 진행 속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차트입니다. 예를 들어, 2025년의 세일즈 목.. 2025. 3. 17.
[POWER BI/파워비아이] 수치를 그룹화하여 차트에 표현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세일즈 리포트를 마무리하는 시간을 가지도록 해 보겠습니다. 앞서 우리는 세일즈 리포트에서 세일즈 퍼널과 타깃 설정에 따른 시각화를 어떻게 만드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전의 포스트는 여기를 참고해 주세요. 2025.02.05 - [POWER BI] - [POWER BI/파워비아이] SALES FUNNEL 보고서 만들기2025.02.05 - [POWER BI] - [POWER BI/파워비아이] 전환율 목표 설정 및 대비 분석 오늘은 앞서 보고서에 그룹화 된 그래프를 추가하는 작업을 함으로 이 보고서를 마무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트의 끝에 무료로 탬플렛을 다운로드할 수 있으니 끝까지 함께 해 주세요!  오늘 만들어 볼 부분은 마지막의 두 차트입니다. 저는 예시 보고서에 국가별.. 2025. 3. 3.
[POWER BI/파워비아이] 전환율 목표 설정 및 대비 분석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난 시간 포스트에 이어 Sales Funnel report를 계속해서 만들어 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앞선 포스트가 궁금하시다면 여기를 참고해 주세요.  2025.02.05 - [POWER BI] - [파워비아이/ POWER BI] SALES FUNNEL 보고서 만들기❕비즈니스 질문: - 우리 회사의 목표 대비 실제 전환율은 얼마나 차이가 나는가? - 제품별 전환율 차이가 존재하는가?  위의 질문을 해결하기 위해 오늘은 목표를 설정하는 방법과 각 제품별 전환율을 효율적으로 보여주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TEP 1. 목표 설정하기만약 각 부서, 제품별 목표가 같다면 아주 쉽게 새로운 Measure을 통해 목표치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원하는 목표치를 설정.. 2025. 2. 27.
[POWER BI/파워비아이] SALES FUNNEL 보고서 만들기 안녕하세요? 데이터를 분석하면서 알고 싶은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바로 비즈니스가 실제로 얼마나 성사되었는가입니다. POWER BI 보고서를 통해 세일즈 리드가 실제 거래까지 이루어지는 전환율을 계산하여 시각화할 수 있다면 좀 더 효과적인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다는 것이지요. ❕비즈니스 질문: - 우리 회사의 리드는 얼마나 효과적으로 거래되고 있는가? (전환율 구하기)- leads에서 deals closed까지의 과정에서 가장 많이 고객이 이탈되는 곳이 어디인가? 오늘은 이 두 가지를 해결하기 위해 Sales Funnel 리포트의 기초를 만들어 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완성된 보고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오늘은 Sales Funnel을 만드는 법과 Conversaion Rate를 구하여 시각화시.. 2025. 2. 24.
[POWER BI/파워비아이] 파이 차트를 더한 생동감 있는 지도 만들기 안녕하세요?회사 보고서 중에 가장 눈길을 끌고,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킬 수 있는 보고서는 바로 "지도"가 있는 보고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도는 원하는 정보를 한눈에 보여줄 수 있고, 글로 설명하지 않아도 쉽게 지역과 연결을 지어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오늘은 지도에 파이 차트를 더해 생동감 있는 POWER BI 보고서를 만드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지도를 만드는 법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포스트를 참고해 주세요 .2024.09.07 - [POWER BI] - [Power BI/파워비아이] POWER BI로 지도 시각화 하기 [Power BI/파워비아이] POWER BI로 지도 시각화 하기안녕하세요? 오늘은 POWER BI를 이용해 지도를 시각화하는 작업을 해 보도.. 2025. 2. 17.
[POWER BI/파워비아이] USERPRINCIPALNAME() 으로 동적 보안 (RLS) 설정하기 우리는 지금까지 Power BI에서 동적 보안을 이해하기 위한 기본적인 개념과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아래의 포스트를 보시면 좀 더 쉽게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실 수 있을 거예요! 2025.01.03 - [POWER BI] - [POWER BI/파워비아이] 행 수준 보안 (RLS) 완벽 가이드: 기본 개념부터 역할 설정까지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이를 좀 더 쉽게 이용할 수 있을까요? 예를 들어, 로그인한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를 기준으로 데이터 접근 권한을 설정한다면 어떨까요?  이번 글에서는 테이블 관계를 활용해 RLS를 설정하는 법, 그리고 DAX의 기능 중 하나인 USERPRINCIPALNAME()을 이용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USERPRINCIPALNAME() 작동 원리 이해하기작.. 2025. 2.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