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보고서를 만들고 사용자들의 피드백에서 자주 듣는 내용 중 하나는 "유연성"입니다. 즉, 보고서를 사용자가 직접,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조정하고 바꾸고 싶다는 것이지요.
예를 들어,
1. 이 제품의 판매량이 지금보다 10% 증가한다면?
2. 이 제품의 할인율을 2% 더 올린다면 어떻게 될까?
또는, 한 그래프에 대해 어떤 사용자는 A 필터를 기준으로, 다른 사용자는 B 필터를 기준으로 보고 싶다와 같은 피드백이지요.
이때 우리는 어떤 기능을 사용할 수 있을까요?
이러한 의문을 해결해 줄 수 있는 방법이 바로 "새 매개 변수" - 파라미터를 만드는 것입니다.
새 매개 변수 (파라미터) 이해하기
파라미터는 쉽게 말해, 데이터를 다룰 수 있는 조정 장치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다양한 값을 사용자 마음대로 입력하거나 선택하여 데이터의 범위를 좁히거나 확장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가 데이터를 더욱 유연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기능입니다.
매개변수의 종류
매개 변수는 "숫자 범위"와 "필드" 두 가지 방법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1. 숫자 매개변수
: 숫자 값에 따라 데이터를 필터링하거나 분석할 때 사용됩니다.
: 가격대의 조정에 따른 매출 변화 분석, 할인율에 따른 마진 분석 등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필드 매개변수
: 사용자가 보고서에 있는 여러 필드를 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 매출 데이터를 지역, 제품 카테고리, 기간 등의 다양한 기준으로 필터링하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매개 변수 만드는 법
: 매개 변수를 만드는 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메뉴의 모델링 -> 새 매개 변수 -> 원하는 종류 선택하기 -> 원하는 값을 포함시키기
매개변수 사용법
원하는 매개변수를 사용하게 된 이후에, 원하는 DAX 식 혹은 슬라이서에 만들어진 매개 변수의 값을 추가해 주면 간단하게 원하는 방향으로 매개변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시를 한번 들어 볼까요?
- 필드 매개변수를 이용해 제품명과 판매원의 매출 알아보기
아래와 같은 데이터가 있다고 생각해 봅시다. 매개 변수를 이용해 제품명과 판매원을 선택에 따라 유동적으로 바꿀 수 있도록 해 볼 건데요!
1. "새 매개 변수" -> 필드를 선택합니다.
2. 원하는 필드를 추가하고 순서를 정해줍니다. 이름도 바꾸어 준 후 -> 만들기를 클릭합시다!
3. 기본 설정으로 슬라이서가 자동으로 추가되었습니다. 그리고 오른쪽 데이터를 보시면, 방금 만든 매개변수 테이블이 생성된 것을 보실 수 있을 거예요. 그러면 그 매개 변수에 있는 값을 표로 옮겨줍니다.
4. 그러면 완성입니다! 이제 슬라이서를 어떻게 선택하느냐에 따라 표의 내용이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을 거예요!
간단하게 두 개의 필드를 하나의 테이블에서 유동적으로 쓸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오늘은 POWER BI의 매개 변수에 대해 알아보고 필드를 사용한 매개 변수 만드는 법을 알아보았습니다. 필드를 이용하면 여러 개의 필드를 하나로 합쳐서 유동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포스트가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다음 시간에는 숫자 범위를 사용하는 법에 대해 더 알아보겠습니다.
'POWER BI'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WER BI/파워비아이] DAX를 이용한 날짜 계산 - 연/월/주/일 (0) | 2024.11.26 |
---|---|
[POWER BI/파워비아이] 매개 변수 - 숫자 범위를 이용해 할인율 계산하기 (0) | 2024.11.25 |
[POWER BI/파워비아이] DAX 기본 이해하기 - Related 함수 | 데이터 관계 이해하기 (0) | 2024.11.21 |
[POWER BI/파워비아이] 시각화 중첩차트 - 타켓과 판매량을 한 번에 표시해 봅시다! (2) | 2024.11.20 |
[POWER BI/파워비아이] TREATAS - 데이터 모델 필터링하기 - Relationship 없이도 가능! (0) | 2024.11.19 |